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 조회 수 5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휜 바나나의 모양은 브라질을 닮았다. 농장에서 넓은 잎의 바나나 나무들이 서로 엉켜서 자라는 모습은 여러 인종이 싸우지 않고 사는 브라질 같다. 여러 갈래로 시원스럽게 뻗은 바나나 나무의 큰 줄기와 우산만큼 큰 잎은 무엇에도 방해받지 않고 평화롭게 자란 모습이다. 인공적인 도움이 없이 한 뿌리의 나무에서 일 년에 세 번씩 수확할 수 있고 한 송이에 수십 개의 바나나가 알알이 커가는 모습은 풍요한 브라질의 상징이다. 척박한 땅과 혹독한 날씨를 극복하고 자란 광야의 가시 돋힌 잔목과는 애초부터 신분이 다르다.

    바나나 모양을 닮은 브라질

    브라질의 바나나 농장



    바나나는 브라질 사람들을 닮았다. 겉과 속의 색이 크게 다르지 않다. 겉이 검게 변해도 속은 본래 그대로이다. 가시 돋힌 파인애플보다 안팎이 모두 부드럽다. 겉은 노란색 고무처럼 질겨 보여도 안은 한없이 부드럽다. 칼 없이 손으로 쉽게 껍질을 벗겨 먹을 수 있고, 씨와 심도 없어서 먹기에도 편하다. 처음 보는 사람한테도 상대방이 불편하지 않게 친절을 베푸는 브라질 사람 같다. 바나나 킥을 잘 차는 브라질 축구는 세계 최고이다.

    노란색은 브라질의 색이다. 브라질은 국기 한가운데 일찌감치 금을 상징하는 노란색을 넣었다. 국가대표 축구팀의 노란색 유니폼은 삼바축구의 상징이다. 화려한 삼바 축제에서도 노란색 옷과 치장이 가장 많다. 가도 가도 끝없이 펼쳐진 사탕수수밭도 커가면서 점차 누렇게 변색된다.

    브라질 사람들은 흔한 바나나를 좋아한다. 시골에서 바나나는 한 송이에 1,000원도 안되기 때문에 브라질에서는 아주 값싼 것을 말할 때 “바나나 값이네” 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브라질은 유럽계, 아프리카계, 원주민계, 아시아계, 중동계 등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되었지만 바나나는 누구나 좋아하는 사회통합의 과일이다. 황량한 사막의 중동에서 말린 대추야자가 요긴한 에너지원이라면 브라질에서는 바나나 농축 젤리, 말랭이가 있다. 아침 식사에서도 바나나는 빠지지 않는다. 비타민도 풍부하고 포만감을 느끼게 해서 운동하는 사람들의 애용식품이다. 튀기거나 삶은 바나나 요리는 브라질 뷔페에서 필수다.

    브라질 재래시장에서 파는 바나나

    바나나로 말린 농축 젤리와 말랭이



    바나나는 웃음을 주는 과일이다. 70년대 한국의 TV 코미디 프로에서 코미디언들이 서로를 넘어뜨리기 위한 수단은 바나나 껍질이었다. 상파울루의 공원에는 작은 원숭이들을 사람의 손바닥, 어깨, 머리까지 유인하기 위해 손가락보다 조금 큰 바나나가가 핵심 수단이다. EU는 비정상적 재배를 막기 위해 판매용 바나나는 너무 휘어지면 안되고 4개 이상 달린 송이여야 한다는 규정을 갖고 있는데 영국은 EU 탈퇴를 선언하면서 “이젠 영국인 스스로 시중에 파는 바나나 각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됐다.” 고 기뻐하기도 했다.

    바나나 공화국이라는 말도 있다. 바나나 등 1차 산품을 수출하여 먹고 사는 가난한 중남미 나라를 일부 선진국들이 폄하하는 말이다. 바나나가 나지 않는 나라가 바나나를 조롱할 자격은 없다.
    브라질 아주 관광 여행사 www.ajutour.com.b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61 아프리카 빈곤 선진국 책임" Webmaster 2424 2006.07.13
    160 브라질 국내선 항공료, 7월 8.25% 인상 Webmaster 2424 2007.08.02
    159 브라질 9살짜리임신 ? 출처 : 연합뉴스 Webmaster 2429 2006.04.07
    158 볼리비아, 브라질 수력발전소 건설에 반발 Webmaster 2431 2006.12.19
    157 브라질 공대 졸업생 뜬다 Webmaster 2431 2008.05.27
    156 브라질 "폰테스는 우주관광객이 아니다" Webmaster 2438 2006.04.01
    155 브라질 국영석유회사 볼리비아 제소 Webmaster 2441 2006.05.06
    154 브라질, 유전개발에 871억달러 투자 Webmaster 2449 2006.07.13
    153 브라질 오토바이, 차량 사이 운행 금지법 추진 Webmaster 2450 2006.12.13
    152 브라질 2014년 월드컵 개최하고 싶다. Webmaster 2455 2006.04.07
    151 아마존 최악의 가뭄사태 Webmaster 2457 2005.10.08
    150 브라질 자동차업계 위기 돌파 적극 모색 Webmaster 2460 2003.07.22
    149 브라질 피라시카바( Piracicaba )시, 현대자동차 결정 Webmaster 2472 2008.10.05
    148 브라질 바릭항공(Varig) 파산보호 신청 Webmaster 2474 2006.04.17
    147 지방제거 수술 폭발적 인기 Webmaster 2479 2007.01.01
    146 브라질 박람회 2007년 Webmaster 2480 2007.02.07
    145 억울한 브라질 철강기업 Webmaster 2488 2006.04.25
    144 브라질 대통령 탄핵위기 Webmaster 2489 2005.08.17
    143 레거시 전파 전송기, 문제 없었다 Webmaster 2502 2006.12.13
    142 브라질산 아가리쿠스 Webmaster 2503 2005.09.27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37 Next
    / 37